Cokes Blog
GitHub 포트폴리오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Cokes Blog

  • 분류 전체보기 (182)
    • 일상 (1)
    • 파이썬 (33)
    • Back-End (58)
      • JAVA (10)
      • Spring(Boot) (42)
      • NestJS (1)
      • Django, FastAPI (1)
      • PHP (4)
    • Front-End (15)
      • HTML-CSS (2)
      • JavaScript (4)
      • Vue.js (8)
      • TypeScript (0)
      • React (1)
    • DB (1)
    • 알고리즘, 코딩 문제풀기 (38)
    • DevOps (12)
      • Jenkins (5)
      • Docker-Kubernetes (3)
      • AWS (4)
    • Build tools (2)
      • Gradle-Maven (2)
    • Linux (3)
    • Git (2)
    • 자격증 (1)
    • 기타 (8)
    • 번외 Project (7)
    스프링 요청방식 어노테이션 @RequestMapping / @GetMapping / @PostMapping

    스프링 요청방식 어노테이션 @RequestMapping / @GetMapping / @PostMapping

    Request(응답)로는 get방식과 post 방식이 있다.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method 파라미터에 RequestMethod.GET, POST로 응답 받을 수 있다. @RequestMapping(value="/test",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test() { return "test"; } @RequestMapping(value="/test",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test() { return "test"; } 이 어노테이션을 간단하게 만들어주는 어노테이션이 있다. @GetMapping 과 @PostMapping 이 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Ge..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Spring(Boot)
    • · 2021. 3. 5.
    • textsms
    spring mvc 5 pom.xml 버전관리

    spring mvc 5 pom.xml 버전관리

    스프링 라이브러리 버전관리 및 세팅 방법 중에 pom.xml을 사용한 방법이다. (maven) 밑에 코드를 보면 poroperties 안에 으로 서블릿 버전이 있다. dependency 안에 version 에 ${javax.servlet-version} 로 렌더링 해서 properties 에서 버전만 변경해도 적용 할 수 있다. 1.6 3.1.1.RELEASE 1.6.10 1.6.6 4.0.1 javax.servlet javax.servlet-api ${javax.servlet-version} provided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Spring(Boot)
    • · 2021. 3. 4.
    • textsms

    스프링 통합 테스트

    이전에 테스트는 자바 코드로만 테스트를 한 것. 이제 스프링 부트 의 테스트 를 이용해보자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과 //스프링 컨테이너와 테스트를 함께 실행한다. @Transactional 을 사용한다. //테스트 케이스에 이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테스트 시작 전에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테스트 완료 후에 항상 롤백한다. 이렇게 하면 DB에 데이터가 남지 않으므로 다음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class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 @Autowired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테스트 작성// /..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Spring(Boot)
    • · 2020. 12. 26.
    • textsms

    thymeleaf 템플릿 엔진으로 view 띄우기

    @GetMapping("/members") public String list(Model model){ List members = mebmerService.findMembers(); model.addAttribute("members", members); return "members/memberList"; } /members 로 접근하게 되면 list 함수가 동작한다. 먼저 Member형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리스트에 이름은 members 이다. 여기에 memberService에 있는 모든 이름을 찾는 findMembers() 메소드를 실행한 값을 넣는다. 그 후 members 라는 이름으로 리스트 members를 모델로 만들어 준다. 그럼 이제 memebers/memberList 에 html을 찾아 간다...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Spring(Boot)
    • · 2020. 12. 26.
    • textsms

    Spring Form 데이터 전송

    이름 등록 post방식으로 폼을 전송하면 @PostMapping("/member/new") public String create(MemberForm form){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form.getName()); mebmerService.join(member); return "redirect:/"; } 맵핑이 됩니다. public class MemberForm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MemberForm 이라는 클래스를 통해 html 에서 전송한 데이터 값을..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Spring(Boot)
    • · 2020. 12. 26.
    • textsms

    스프링 GetMapping , PostMapping

    @GetMapping("/") public String create(){ return "create"; } @PostMapping("/") public String create(MemberForm form){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form.getName()); mebmerService.join(member); return "redirect:/"; } 이처럼 같은 URL을 get, post로 나눠서 맵핑이 가능하다. Get 은 url로 다 보여지기 때문에 보통 url 맵핑 할 때 사용한다. Post 는 form에 데이터를 넣어서 전달할 때 보통 사용한다. redirect:/ 는 다시 "/" url로 돌아가라는 것이다.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Spring(Boot)
    • · 2020. 12. 26.
    • textsms

    포트 사용 중일 때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netstat -a -o > network status 인거 같다. -all 인거 같고 -o 는 pid 번호를 알기위해 쓰는 듯. 그 후 포트 번호를 찾고 pid 번호로 죽이면된다. taskkill /f /pid PID번호 로 죽이면 된다.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Spring(Boot)
    • · 2020. 12. 26.
    • textsms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오늘은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워드 - 스프링 빈, 스프링 컨테이너,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Autowired, DI, 의존관계 주입,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어노테이션으로 스프링이 동작할 때 스프링컨테이너에 객체를 생성한다. @Autowired를 통해 스프링컨테이너에 생성된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의 객체를 연결해주는데 사용한다.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bmerService; @Autowired public MemberController(Mem..

    • format_list_bulleted Back-End/Spring(Boot)
    • · 2020. 12. 25.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5
    • 6
    • navigate_next
      Cokes Blog
      호두와 녹두
      반응형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82)
        • 일상 (1)
        • 파이썬 (33)
        • Back-End (58)
          • JAVA (10)
          • Spring(Boot) (42)
          • NestJS (1)
          • Django, FastAPI (1)
          • PHP (4)
        • Front-End (15)
          • HTML-CSS (2)
          • JavaScript (4)
          • Vue.js (8)
          • TypeScript (0)
          • React (1)
        • DB (1)
        • 알고리즘, 코딩 문제풀기 (38)
        • DevOps (12)
          • Jenkins (5)
          • Docker-Kubernetes (3)
          • AWS (4)
        • Build tools (2)
          • Gradle-Maven (2)
        • Linux (3)
        • Git (2)
        • 자격증 (1)
        • 기타 (8)
        • 번외 Project (7)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코딩테스트
      • #파이썬
      • #코딩
      • #pyqt
      • #자바
      • #Java
      • #알고리즘
      • #python
      • #백준
      • #문자열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