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를 사용하는 우분투 서버에 SSH 접속하기

728x90

노트북에 우분투 서버를 설치했습니다.

해당 우분투 서버는 노트북에 공유기로 접속했기 때문에 내부IP로 접속되는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KT공유기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172.1.30.OO으로 잡히는걸로 확인되었습니다.

 

sudo curl ifconfig.me

curl이 설치되어 있다면 ifconfig.me 명령어를 통해 외부 IP를 확인합니다.

설치 되어있지 않다면 

sudo apt install curl

curl을 설치 후 진행합니다.

 

 

ssh를 통해 접속해보려고 합니다.

ssh username@외부IP

기본적으로 ssh 포트는 22포트를 사용하니 기본포트로 진행하겠습니다.

 

시도해보면 ssh가 접속이 안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공유기 때문인데요.

 

우리는 이 공유기에 내부IP를 이용해야 합니다.

 

KT에 공유기 설정 페이지 -> 172.30.1.254 ->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모든 공유기에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해서 접속하게 되면 

포트 포워딩 (포트 포워드) 라는 메뉴가 보일 것 입니다.

접속하게되면

 

외부 포트, 내부 IP 주소, 내부 포트를 추가 할 수 있는 화면이 보일 것 입니다.

 

외부 포트 : 22 ~ 22

내부 IP 주소 : 172.30.1.OO -> 미리 확인한 내부 IP 주소

내부 포트 : 22 ~ 22 

TCP, TCP/IP 로 추가를 합니다.

 

외부 포트 22번으로 접속하면 내부 IP 주소의 해당 포트로 연결해주는 것 입니다.

 

ssh username@외부IP

다시 접속해보면 접속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후에 사진 업로드 하여 수정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