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에서 스프링 mvc 프로젝트

728x90

스프링 로고.jpg
1. 콘텍스트 명 톰캣에서 세번째 자동생성.JPG

 

iducs라는 컨텍스트 명이 root 디렉토리이다.

 

2. 이클립스 톰캣 패키지 세번째 콘텍스트 자동생성.JPG

 

이클립스에서 스프링 mvc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톰캣서버에서 패키지 .을 기준으로 세번째를 자동으로 컨텍스트를 생성해준다.

 

3. 패키지.JPG

 

4. 서블릿.JPG

 

/ 로 들어오는 모든 것을 appServlet인 DispatcherServlet로 보내고 servlet-context.xml로 보낸다. 여기에는 컨트롤러가 있다.

 

5. 맵핑.JPG

 

아래 context 에 패키지를 기준으로 찾게 되고, ViewResolver를 통해 prefix , suffix 정해지고 만약 컨트롤러에서 home을 리턴을 시켰으면 WEB-INF/views/home.jsp가 되는것이다.

 

그리고 위에 /resources/** 부분을 보면 모든 / 를 dispacher를 통해 컨트롤러로 보내지는데  /resources/ 로 오는 모든 경로는 컨트롤러로 가지않고  /resources/ 로 보내라는 것이다. 

 

6. resources 찾기.JPG

 

이렇게 view에서는 컨텍스트를 입력하고 resources경로로 해주면 된다.

반응형